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DSL
- filebeat
- venv
- grok
- airflow
- KoA
- configure
- package.json
- typescript
- Tutorial
- kibana
- dense_vector
- CSV
- devtools
- ELK
- json
- node.js
- elastic
- windows
- PYTHON
- Data Engineering
- framework
- logstash
- OPCUA
- ubuntu
- 7.7.1
- Crontab
- elasticsearch
- query
- path.data
Archives
- Today
- Total
Gibbs Kim's playground
[ElasticStack-32] Elasticsearch (On-premise) to Elasticsearch (Cloud) through Logstash 본문
Tech 기록지/Elastic Stack
[ElasticStack-32] Elasticsearch (On-premise) to Elasticsearch (Cloud) through Logstash
Lio Grande 2021. 3. 3. 14:40Elasticsearch Cloud로 데이터를 구축 시, 기존 ES (On-premise)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때 로그스태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적재할 수 있습니다.
input {
elasticsearch {
hosts => "localhost:9200"
index => "local_idx"
query => '{ "query": { "match_all": {} } }'
}
}
filter {
}
output {
elasticsearch {
cloud_id => "Deploy명:Key값"
cloud_auth => "elastic:패스워드"
ssl => true
index => "cloud_idx"
}
}
기존 서버에서 구동중인 ES (On-premise)의 인덱스명을 'local_idx'로 가정합니다.
output에서 cloud_id 정보는 Elastic cloud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cloud.elastic.co -> 로그인 후 'Deployment' 클릭 후 확인 가능)
cloud_auth에 관련된 정보의 ID는 'elastic'으로 고정입니다.
패스워드는 UI에서 초기화 하면서 확인이 가능하며 키값은 랜덤하게 생성(generate)되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파일로 저장해두어야 합니다. (패스워드 예시 : KaWqck9Ubas-czx...)
'Tech 기록지 > Elastic 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tack-33] Machinebeat test with opcua (0) | 2021.06.01 |
---|---|
[ElasticStack-31] Logstash - JDBC input (0) | 2021.03.03 |
[ElasticStack-30] Elastic Cloud 사용자 사전 (0) | 2021.03.03 |
[ElasticStack-29] Elasticsearch 동의어 관리 방식 (2) | 2020.09.01 |
[ElasticStack-28] search.max_buckets, max_result_window 사이즈 증가 (0) | 202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