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OPCUA
- grok
- venv
- Tutorial
- ubuntu
- DSL
- airflow
- node.js
- 7.7.1
- elasticsearch
- typescript
- framework
- windows
- elastic
- CSV
- Crontab
- logstash
- Data Engineering
- query
- json
- configure
- filebeat
- path.data
- kibana
- ELK
- dense_vector
- KoA
- PYTHON
- devtools
- package.jso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ackage.json (1)
Gibbs Kim's playground
[Node.js - 3] Dev mode running setup with package.json
Node로 만든 서버는 기본적으로 'node start' 명령어를 통해 실행된다. 구동된 서버는 코드가 변경되면 다시 'node start' 명령이 수행되어야 변경된 내역이 반영된다. 개발 환경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개발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node module중 'nodemon' 이라는 패키지를 통해 서버가 구동될때 코드의 변경사항이 있고, 코드의 변경사항이 저장되면 다시 서버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최신 서버 상태를 유지해준다. # nodemon 설치 (with yarn) >> yarn add nodemon # nodemon 버전으로 서버 구동 예시 >> nodemon server.js 현재까지 node와 yarn을 혼용한 명령어 예시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상황이 싫고 모두 yarn을 통한 명..
ProgrammingLanguages/Node.js
2022. 6. 27.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