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ibana
- grok
- KoA
- elastic
- ELK
- DSL
- CSV
- node.js
- json
- dense_vector
- 7.7.1
- filebeat
- package.json
- query
- path.data
- devtools
- logstash
- elasticsearch
- configure
- OPCUA
- venv
- ubuntu
- Data Engineering
- airflow
- Tutorial
- framework
- Crontab
- windows
- PYTHON
- typescript
- Today
- Total
목록elastic (2)
Gibbs Kim's playground
opc-ua 서버를 테스트하던 도중 해당 데이터를 ES에 적재하여야 하는 상황을 겪었다. 이때, machinebeat라는 수집도구를 사용하여 opc-ua 서버에서 ES로 적재하는 것을 알게되었다. 해당 과정에 대한 수행내역을 기록해본다. 1) opc-ua 테스트용 서버 구축 https://mingsigi.tistory.com/entry/opc-ua-test-server-via-python opc ua test server via python from time import sleep import random from opcua import Server server = Server() server.set_endpoint("opc.tcp://127.0.0.1:12345") server.register_name..
서울지하철 데이터(JSON)를 가지고 로그스태시(Logstash)를 사용하여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에 인덱싱한 과정을 기록합니다. (Version based 7.6.2) ### json 파일의 key-value pair status example { "DESCRIPTION" : {"STN_PHONE":"전화번호","STN_LINE":"호선""STN_NM":"역명","STN_ZIP_CODE":"우편번호","STN_ADDR":"지번주소","STN_IDX":"연번","STN_ROAD_ADDR":"도로명주소"}, "DATA" : [ {"stn_zip_code":"157-857","stn_nm":"방화역","stn_line":"5","stn_phone":"02-6311-5101","stn_road..